목차 일부
목차
머리말 = 3
제1장 정책평가의 이해 = 13
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 = 13
1. 정책평가의 개념 = 13
2. 정책평가의 특징 = 14
3. 유사 개념과의 구분 = 17
4. 평가를 등한시하는 이유와 평가에 대한 잘못된 생각 = 21
제2절 정책평가의 목적 = 24
1. 정부개입 활동의 개선 = 25
2. 정부개...
목차 전체
목차
머리말 = 3
제1장 정책평가의 이해 = 13
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 = 13
1. 정책평가의 개념 = 13
2. 정책평가의 특징 = 14
3. 유사 개념과의 구분 = 17
4. 평가를 등한시하는 이유와 평가에 대한 잘못된 생각 = 21
제2절 정책평가의 목적 = 24
1. 정부개입 활동의 개선 = 25
2. 정부개입 활동의 책임성 향상 = 26
3. 조직관리 및 통제의 기능 = 27
4. 조직학습의 기능 = 28
5. 정책이론 형성의 기능 = 28
6. 전략적 목적으로 활용 = 29
7. 이해관계자에 따른 평가의 목적 = 31
제3절 정책평가의 유형 = 32
1. 누가 평가를 하는가? = 32
2. 평가가 강제적인가? = 33
3. 언제 평가를 하는가? = 35
4. 평가의 목적이 무엇인가? = 38
5. 기타 유형 = 41
제4절 우리나라의 평가제도 = 44
1. 심사분석 및 심사평가 시기 = 44
2. 평가의 발전 단계 = 44
3. 프로그램 치 기관평가 시기 = 45
제2장 평가이론 및 접근방법 = 48
제1절 평가연구의 전개 과정 = 48
1. 정책평가에 대한 연구 경향 = 48
2.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 = 53
제2절 평가에 대한 접근방법의 분류 = 54
1. 평가 접근방법의 분류 = 54
2. 크리스티와 앨킨의 평가이론 나무 = 55
3. 피츠팩트릭 외의 분류 = 58
4. 스턴의 분류 = 59
제3절 평가 접근방법 = 61
1. 의사평가 = 63
2. 방법 중심의 접근방법 = 69
3. 프로그램 개선/책임성 지향 평가 접근방법 = 100
4. 사회적 어젠다/옹호 접근방법 = 114
5. 절충적 평가 접근방법 = 126
6. 바람직한 평가 접근방법의 선택 = 129
제4절 주요 평가 접근방법 = 131
1. 평가성 사정 = 131
2. 사전평가 = 137
3. 기관평가 = 141
4. 모니터링 = 146
5. 성과평가 = 153
6. 메타평가 = 159
제3장 정책평가 과정과 기준 = 164
제1절 정책평가 과정 = 164
1. 정책평가 시스템의 구성 = 164
2. 정책평가 과정 = 166
3. 정책평가 과정의 정치성 = 168
4. 바람직한 조직의 평가 시스템 = 170
제2절 평가 기준 = 171
1. 교육평가기준 합동위원회의 기준 = 171
2. OECD DAC의 기준 = 175
3. EC의 평가 기준 = 182
제4장 정책평가의 관리 = 187
제1절 정책 평가정책과 관리 = 187
1. 평가정책 및 관리의 주요 과제 = 187
2. 평가에 대한 공식적 합의 = 193
제2절 정책평가 조직 = 194
1. 평가관리 부서 = 194
2. 평가위원회 및 조정집단 = 197
3. 평가팀 = 198
4. 평가 지원조직 = 204
제3절 평가 인적자원관리 = 205
1. 평가 담당자 = 205
2. 평가팀장 = 207
3. 평가자 = 209
4. 외부 평가자 = 217
제4절 평가예산 및 계약관리 = 219
1. 평가예산 = 219
2. 평가 계약관리 = 224
제5절 평가문화 관리 = 228
1. 평가문화의 의의 = 228
2. 바람직한 평가문화 형성 = 229
제6절 평가의 시기와 일정관리 = 230
1. 평가의 시기 = 230
2. 평가의 일정관리 = 232
제7절 평가의 참여관리 = 233
1. 참여의 의의 = 233
2. 참여의 목적 = 235
3. 평가에서 참여자와 참여 방법 = 236
4. 참여의 확대 방안 = 237
5. 참여적 평가에서 고려할 사항 = 238
제8절 평가의 적정성 관리 = 238
1. 평가의 신뢰성 및 독립성 확보 = 238
2. 평가의 투명성과 공개성 확보 = 242
3. 평가에서 인간의 권리와 존엄성 확보 = 245
4. 평가의 공평성과 명확성 확보 = 246
제9절 평가의 책임성 확보 = 248
1. 책임성의 의의 = 248
2. 평가의 책임성 확보를 위한 메타평가 = 248
제10절 평가에 대한 저항 관리 = 251
1. 평가에 대한 저항 요인 = 251
2. 평가에 대한 저항 극복 방법 = 253
제5장 정책평가의 준비 = 256
제1절 평가계획 = 256
1. 평가계획의 의의 = 256
2. 평가계획의 내용 = 257
3. 평가계획의 수립 과정 = 259
4. 평가계획의 수립 기준 = 260
제2절 평가 목적과 목표의 확인 = 264
1. 평가 목적 확인의 의의 = 264
2. 평가 시기와 평가 목적 = 264
3. 평가 이용자와 평가 목적 = 265
4. 평가 목적의 확인 방법 = 267
제3절 평가 대상의 선정 = 268
1. 평가 대상 선정의 의의 = 268
2. 평가 대상의 선정 = 269
3. 평가 대상 선정에서 고려할 사항 = 270
제4절 이해관계자 확인 = 274
1. 이해관계자 확인의 의의 = 274
2. 이해관계자 확인 과정 = 278
3. 이해관계자 확인 과정에서 고려할 사항 = 282
제5절 정책 및 프로그램의 이해 = 283
1. 정책 및 프로그램 이해의 의의 = 283
2. 정책 및 프로그램 이해를 위한 틀 = 287
3. 프로그램 이해를 위한 논리모형 = 288
제6절 정책평가 기준 = 301
1. 평가 기준의 유형 = 301
2. 효과성 = 303
3. 능률성 = 304
4. 적절성 = 307
5. 형평성 = 309
6. 고객만족도 = 310
7. 영향 = 312
8. 지속가능성 = 314
9. 거버전스 평가 기준 = 316
10. 자원 동원 및 관리에 대한 평가 기준 = 319
제7절 정책 평가 질문의 구성 = 321
1. 평가 질문의 의의와 유형 = 321
2. 평가 질문 작성의 기준 = 324
3. 평가 질문 작성의 과정 = 333
4. 평가 질문 작성에서 고려할 사항 = 335
제8절 정책 평가지표 및 판단 기준의 설정 = 335
1. 평가지표 및 판단 기준의 의의 = 335
2. 평가지표의 설정 = 337
3. 판단 기준 = 346
제9절 평가설계 = 349
1. 평가설계의 의의와 유형 = 349
2. 평가설계의 타당성과 신뢰성 = 354
3. 양적 평가설계 = 359
4. 질적 설계 및 평가 = 369
5. 평가설계의 선택 = 377
제6장 평가자료 수집 = 379
제1절 평가자료 수집의 의의와 계획 = 379
1. 평가자료 수집활동의 의의 = 379
2. 평가자료 수집계획 = 379
3. 예비조사 = 381
제2절 평가에 필요한 자료 및 자료원 = 382
1. 자료 및 정보의 의의 = 382
2. 자료의 유형 = 386
3. 자료원의 선택 = 389
제3절 자료 수집 방법 = 392
1. 자료 수집 방법의 의의 = 392
2. 자료 수집 방법 = 392
3. 자료 수집 방법의 선택 = 397
제4절 자료 수집활동과 자료의 질 통제 = 401
1. 자료 수집활동의 의의 = 401
2. 자료 수집활동 = 402
3. 자료 수집에서 어려움 극복 방법 = 403
4. 자료의 질 통제 = 404
5. 자료 수집에서 고려할 사항 = 409
제7장 평가자료의 분석과 해석 = 411
제1절 자료의 분석과 판단 = 411
1. 의의 = 411
2. 자료 분석과 판단 과정에서 가치판단 = 413
제2절 평가자료의 처리 = 415
제3절 평가자료의 분석 = 416
1. 자료분석의 의의 = 416
2.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= 418
3. 평가분석의 오류 = 423
4. 분석 결과에 대한 확증 = 427
5. 분석에서 고려할 사항 = 429
제4절 해석과 결론의 도출 = 430
1. 분석 결과의 해석 = 430
2. 결론의 도출 = 434
3. 해석 및 결론 도출에서 고려할 사항 = 436
제5절 권고안의 작성 = 437
1. 권고안의 의의 = 437
2. 권고안의 작성 = 438
제8장 평가보고서 작성과 활용 = 440
제1절 평가보고서 작성 = 440
1. 평가보고서의 의의 = 440
2. 평가보고서 작성 = 441
3. 최종 평가보고서의 형식 = 443
4. 평가보고서의 작성 방법 = 448
5. 평가보고서의 검토 사항 = 450
제2절 평가결과의 보고와 공유 = 452
1. 평가결과의 보고 = 452
2. 평가결과의 공유와 커뮤니케이션 = 455
제3절 평가결과의 활용 = 458
1. 평가결과 활용의 의의 = 458
2. 평가결과 활용의 유형 = 459
3. 평가결과의 이용자 = 463
4. 평가결과 활용에 미치는 영향 = 464
5. 평가결과 활용의 촉진 방법 = 466
부록 : 미국 평가학회의 평가자가 준수해야 할 원리 = 469
참고 문헌 = 476
찾아보기 = 496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
서평추가